뭐 이론보다는 실습입니다. 웹에 대해 빠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 웹 사이트를 구축해서 운영해 보는 것에 가장 좋습니다. 웹 사이트를 구축하려면 뭐가 있어야 할까요? 일단 서버가 있어야겠죠.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직접 서버를 구동하거나 또는 IDC업체에 있는 서버를 임대하여 사용하거나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월 사용요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지만 웹 서버는 고가의 장비이고 서버를 관리한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많은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외부에 위탁하여 안전하게 운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실습을 한다거나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한다면 월 사용료를 내는 것이 사치일 수가 있고요 고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집에서 놀고 있는 낡은 PC로도 얼마든지 서버를 돌려볼 수가 있습니다. (한때 네이버에서는 네티즌들에게 다락방서버를 운영하자는 운동을 하기도 했었죠.) 자 낡은 PC에 윈도우즈(윈도우즈는 프로페셔널버전 이상이어야 됨)만 깔려 있으면 됩니다. 리눅스서버도 많이 쓰입니다만 PC마다 기본적으로 깔려있고 모두에게 익숙한 윈도우즈 운영체제로 쉽게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윈도우즈는 서버용이 따로 있기는 하지만 기본 골격은 같고 업무용에 비해 불필요한 것들은 생략되고 서버로 활용되기 위한 기능들이 더 있다는 것만 다릅니다.)
자 낡은PC를 가지고 윈도우즈 서버를 구축했습니다.(저는 윈도우즈서버2008R2 라는 버전으로 설치를 했습니다. 윈도XP, 윈도7 등 개인용 윈도우즈도 상관없습니다만 가능하다면 윈도2008서버나 윈도2012서버 같은 서버용 운영체제를 사용하는게 더 낫습니다.) 새로 설치해서 그런지 화면이 황량해보입니다만 서버용으로만 사용된다면 바탕화면은 나중에도 거의 이 모습일 것입니다. 자 서버는 설치가 됐고요 이제 뭐가 필요할까요? 서버를 운영하려면 도메인이 필요합니다. 우리들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고유의 주소값인 IP 이외에 'google.com' 이나 'naver.com' 같은 고유의 도메인명을 사용하지요. 그럼 도메인명을 하나 만들어서 내 서버의 IP주소와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서버의 IP가 일정하다면 참 좋겠지만 ISP라고 하는 인터넷 회선을 제공하는 업체(KT나 SK 등)로부터 IP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우리들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ISP업체의 사정으로 IP주소가 계속 바뀌는 거죠. 언제 바뀔지 모르는 IP주소를 도메인명과 연결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DDNS라는 서비스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kr.dnsever.com 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DDNS서비스를 사용하도록 할 것입니다.
우선 kr.dnsever.com 에 접속하여 가입 후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일단 우리가 필요한 것은 제가 붉은선으로 표시해 놓은 네임서버입니다. 1차부터 5차까지의 네임서버주소와 IP를 메모해 놓습니다. 그 다음 도메인명을 하나 등록해보겠습니다. 도메인명은 자유롭게 정하면 되지만 누군가 등록해 놓은 것은 사용할 수 없기에(웬만한 좋은 이름들은 거의 다 등록되어 있을 겁니다.) 약간의 고민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갑자기 도메인등록을 하려니 생각나는 것이 없네요. 저는 지금 홍천에 있으므로 그냥 redstream.com 이라고 이름을 지어보았습니다. 국제적으로 도메인명은 NIC라는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고 우리는 국내 등록대행업체를 통해 도메인명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저는 gabia.com이라는 등록대행사이트를 통해 도메인등록을 해보겠습니다.
www.gabia.com에 접속해 보면 도메인명을 찾아볼 수 있는 검색 창이 보입니다. 저는 redstream.com 이라는 도메인이 필요하므로 redsteam이라고 검색해 보겠습니다.
검색결과가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역시 웬만한 이름은 다 사용 중이네요 redstream.com을 사용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계획을 수정해야겠습니다. 그래도 아래에 보니 다행스럽게 redstream.co.kr이라는 한국도메인은 사용가능합니다. 그럼 redstream.co.kr을 등록해 보겠습니다. redstream.co.kr에만 체크하시고 등록버튼은 누르면 등록의뢰를 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하고 신청서 폼을 작성하면 되는데 폼에 네임서버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에서 자체네임서버 대신 타사 네임서버를 사용하겠다 하시고 아까 메모해 놓은 kr.dnsever.com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자 등록 신청서 작성을 완료하고 수수료를 결제하면 이 도메인명은 신청기간 동안 내 소유가 됩니다. 도메인등록은 완료되었지만 전 세계에 있는 DNS서버에 나의 도메인정보가 전달되어야 하므로 도메인명과 네임서버가 연동되려면 시간이 좀 걸립니다. 아쉽지만 오늘은 이만 마치고 네임서버가 연동되면 다시 공부를 하겠습니다.
'Segpark의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수업에 사용된 예제파일입니다. (0) | 2013.05.20 |
---|---|
[엑셀고급]엑셀로CS프로그램개발하기 #1 (0) | 2012.11.17 |
[쉽게배우는 웹] 서버구축 #2 (0) | 2012.11.15 |
[포토샵기초]이미지파일의 원하는 부분만 잘라내기 (0) | 2012.11.15 |
[엑셀고급] SQL결과를 배열수식으로 반환 (0) | 2012.08.02 |